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2025년 국민연금 이렇게 바뀐다 (수령 나이·추납·기초연금)

by 은빛 건강 일기 2025. 6. 10.
반응형

국민연금은 은퇴한 이후 매달 일정한 돈을 받을 수 있도록 해주는 제도입니다. 노후를 대비하기 위해 꼭 필요한 제도지만, 내용이 어렵고 자주 바뀌다 보니 관심을 가지지 않으면 금방 놓치게 됩니다.

얼마 전 오랜만에 만난 후배가 국민연금 이야기를 꺼냈습니다. “선배, 이제 연금 수령 나이 올라가는 거 알고 계세요?” 그 순간 말문이 막혔습니다. 연금이란 게 그냥 나이 되면 나오는 줄만 알았는데, 왜 받는 시기가 늦춰지는 건지 답을 못했습니다.

“난 건강도 그리 좋은 편이 아니라, 하루라도 빨리 받고 싶은데 왜 자꾸 늦추는 거냐?” 이렇게 되물었죠.

이 글은 저처럼 연금에 관심이 없었던 분들을 위해, 2025년에 바뀌는 국민연금 수령 시기와 그 이유를 쉽게 설명하는 글입니다. 왜 이런 변화가 생기는지, 어떻게 대비해야 하는지 함께 알아보시죠.

korean_senior_pension_infographic_2025

국민연금이란 무엇인가요? (시작부터 다시 알아보기)

국민연금은 일을 하지 못하는 나이가 되었을 때, 나라에서 매달 일정 금액을 주는 제도입니다. 쉽게 말해 노후생활비를 도와주는 보험입니다.

만 18세부터 60세까지는 국민연금을 꼭 내야 합니다. 일하는 사람은 월급의 9%를 내고, 회사가 절반을 대신 내줍니다. 예: 월급이 300만 원이면 매달 27만 원이 연금으로 나가고, 그중 13만 5천 원은 회사가 부담합니다.

직장이 없는 분들(자영업자, 프리랜서)은 본인이 전액을 내야 합니다. 소득이 전혀 없을 땐 '납부 예외'를 신청해서 안 낼 수도 있고, 나중에 형편이 되면 '추납'을 통해 다시 낼 수 있습니다.

연금을 받기 위한 조건은 단 하나, 10년 이상 납부입니다. 그럼 언제부터 받을 수 있을까요?

연금, 왜 늦게 주는 건가요? (2025년 수령 시기 변화)

2025년부터 국민연금 제도가 바뀝니다. 지금은 만 63세부터 받을 수 있지만, 앞으로는 점차 만 65세까지 올라갑니다.

예전에는 60세에 받을 수 있었던 연금이, 65세가 되어야 받을 수 있다면 건강이 걱정되거나 생활비가 빠듯한 분들에게는 큰 부담이 됩니다.

저 역시 그 얘기를 듣고 당황스러웠습니다. “난 오래 살 자신도 없는데, 왜 늦게 주지?” 이런 생각이 들었죠.

이 변화의 이유는 사람들의 수명이 길어졌기 때문입니다. 예전에는 70세 전후로 생을 마감하는 경우가 많았지만, 요즘은 80세, 90세까지 사는 분들이 많습니다.

정부 입장에서는 연금을 더 오래 지급해야 하니, 시작 시기를 늦추는 것입니다. 또한 연금을 받는 사람이 많아지면, 연금을 내는 세대가 부담해야 할 몫도 커집니다.

연금, 지금 받아야 하나요? (수령 전략과 현실적 선택)

연금을 언제 받는 것이 좋을까요? 이건 정말 개인 사정에 따라 다릅니다.

✔ 건강이 안 좋고 생활비가 당장 필요한 경우 → 빨리 받는 것이 낫습니다. ✔ 여유가 있고 오래 일할 수 있다면 → 늦게 받을수록 더 많이 받게 됩니다.

실제로 국민연금은 '조기 수령'과 '연기 수령'이 가능합니다.

  • 조기 수령: 만 60세부터 받을 수 있음 (단, 최대 30%까지 감액)
  • 연기 수령: 65세 이후까지 늦추면, 최대 36%까지 더 받게 됨

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에서는 ‘내 연금 예상액’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저도 후배 말을 듣고 직접 확인해보니, 생각보다 적지 않은 금액이 나오더군요. 이런 걸 미리 알아둬야, 갑작스러운 변화에 당황하지 않습니다.

 

국민연금, 조금 더 깊이 알아보기

1. 국민연금은 정말 안전한가요?

많은 분들이 "나중에 연금 못 받는 거 아니냐"고 걱정하십니다. 하지만 국민연금은 헌법에 명시된 국가의 의무입니다. 제도가 변경될 수는 있어도, 지급 자체가 끊기지는 않습니다.

정부는 재정 부족 시 국고로 보전하고, 제도 유지와 조정을 계속 해나가고 있습니다. 국민연금은 ‘없어지지 않지만, 바뀔 수는 있는 제도’라는 것을 이해해 두시면 됩니다.

2. 국민연금만 믿어도 될까요?

국민연금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. 연금 수령액은 대부분 월 70~100만 원 수준이며, 실제 노후생활비는 최소 180~250만 원이 필요하다는 조사 결과도 있습니다.

따라서 국민연금은 ‘기초’일 뿐, 개인연금, 퇴직연금, 저축 등으로 부족한 부분을 채우는 설계가 중요합니다.

3. 국민연금과 기초연금은 무엇이 다른가요?

기초연금은 소득이 적은 만 65세 이상 고령자에게 정부가 지원하는 복지성 연금입니다. 국민연금은 본인이 낸 만큼 받는 사회보험이죠.

두 가지를 함께 받을 수 있지만, 국민연금을 많이 받으면 기초연금은 감액될 수 있으므로 계산이 필요합니다.

4. 추납제도란 무엇인가요?

추납은 ‘추후 납부’ 제도입니다. 과거 소득이 없어서 연금을 못 낸 기간이 있다면, 그 기간의 보험료를 지금 낼 수 있도록 해주는 제도입니다.

추납을 하면 가입 기간이 늘어나고, 연금 수령액도 올라갑니다. 단, 신청 조건과 가능한 납부 범위가 있으므로 국민연금공단에서 정확히 확인하셔야 합니다.

5. 국민연금 외에 어떤 방법이 있을까요?

  • 개인연금: 연금저축, 연금보험 등 세액공제 혜택이 있는 상품 활용
  • 퇴직연금: 일시금 대신 연금형 수령을 고려
  • 주택연금: 집을 담보로 매달 연금처럼 수령 (60세 이상 1주택자)
  • 노후 일자리: 건강이 허락한다면 시니어 일자리 참여로 소득 보완

결론: 내 이야기이자, 곧 당신의 이야기

국민연금, 언젠간 우리 모두가 마주할 현실입니다. 저처럼 ‘설마 나한테도 해당될까?’ 하고 무관심했던 분들도, 지금부터는 조금씩 알아보는 것이 좋습니다.

✔ 연금은 언제부터 받을 수 있는지 ✔ 내가 얼마를 받을 수 있는지 ✔ 빨리 받을지, 늦게 받을지를 결정하는 기준

이런 것들을 정확히 아는 것만으로도 노후에 큰 차이가 생깁니다.

“난 건강이 안 좋은데 왜 늦게 주는 거야?” 이 말에 저도 공감합니다. 하지만 제도는 전체 국민을 기준으로 운영되는 만큼, 우리는 내 상황에 맞춰 준비하는 것이 더 현실적입니다.

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(https://www.nps.or.kr)에 접속하면 내 연금 예상액부터 조기수령 신청 방법까지 다 나옵니다. 궁금한 것이 있다면 고객센터 1355로 전화해 보세요. 친절하게 상담해 줍니다.

 

함께 보면 좋은 글  - 노년층도 신청 가능한 정부 지원금 제도

반응형